[여의도풍향계] 막오른 '공천전쟁'…긴장감 가득한 여의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올해 4월 총선을 앞두고 여야의 공천 심사가 본격화하면서 정치권엔 긴장감이 감돌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당락의 유불리를 가를 심사 기준 발표에, 도전장 내민 후보들 모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이번 여야의 공천룰, 특징은 무엇인지 임혜준 기자가 여의도풍향계에서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주 국민의힘은 4월 총선 때 적용할 컷오프룰, 또 경선 과정에서의 감산 기준을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더불어민주당도 공관위 회의를 열어 청년 가산 비율을 확정하고 '국민참여공천' 제도를 새로이 도입하는데요.<br /><br />막 오른 공천 시즌에 정치권도 긴장감이 감돕니다.<br /><br />공천룰을 먼저 확정한 건 국민의힘입니다.<br /><br />단연 가장 관심이 집중된 것은 현역의원 '컷오프' 기준인데요.<br /><br />당무감사 결과 30%, 컷오프조사 결과 40%, 기여도 20%, 면접 10%를 반영해 네 개의 권역별로 평가에 들어갑니다.<br /><br />이렇게 해서 권역별 '하위 10% 이하'인 일곱명은 공천에서 원천 배제되고,<br /><br />'하위 10% 초과 30% 미만' 대상자는 감점 요소가 적용돼 총 열 여덟 명이 패널티를 안고 경선을 치르게 됩니다.<br /><br />이번 공천룰에서 더 주목할 만한 부분이 있는데요.<br /><br />같은 지역구에 세 번 이상 당선된 현역 의원들에게 페널티를 주기로 한 점입니다.<br /><br />경선 득표율에서 15%를 깎아 평가하겠다는 건데요.<br /><br />이렇게 패널티를 받게 될 다선 의원, 당에 22명 있습니다.<br /><br />만일 이들이 현역 평가 10~30%에 해당할 경우 무려 35%의 페널티를 받게 되는 겁니다.<br /><br />반대로 가산점을 받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청년과 정치신인, 여성 등에는 경선 득표율에서 7%에서 최대 20%까지 높게 쳐주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 "변화와 안정의 균형을 위해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객관적인 원칙과 기준을 마련하여 질서있는 세대교체가 가능할 수 있도록 결정했습니다."<br /><br />때문에 다선, 중진의 현역 의원들 사이에선 볼멘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다선, 중진이 많은 영남권 의원들 사이에선 소위 '영남 물갈이'가 현실화 되는 것 아니냐고도 우려하는데요.<br /><br />그래도 10년 넘게 지역 민심 다져놨는데, 정치 신인과 맞붙었을 때 과연 불리하겠느냐, 하는 관점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술렁이는 것은 당연한데, 예상보다 큰 반발은 없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공천룰, 이전에 비해 '계량화', '수치화' 했다는 특징이 있는데요.<br /><br />각각 항목에 있어 감점과 가점이 얼마만큼 적용되는지, 나름대로 투명하게 설명이 돼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납득할 만한 이유 없이 공천에서 원천 배제하는 게 아니라 적어도 '경선할 수 있는 기회는 줬다'고 생각을 하는 듯 합니다.<br /><br />공관위로서도 '수치화' 된 성적표로 공천 잡음도 줄이고, 평가하기도 비교적 수월해지는 셈이죠.<br /><br />더불어민주당도 공천룰 확정을 위한 절차를 밟아나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민주당 총선기획단은 평가 하위 10% 현역의원의 감산 비율을 20%에서 30%로 상향 조정해 공관위에 제안했는데요.<br /><br />코인, 막말 논란 등으로 홍역을 치른 기억을 토대로 가상자산 문제, 부적절한 언행 등에 대한 심사 기준도 강화하자고 했습니다.<br /><br />총선기획단 제안을 받아든 공관위도 공천룰 논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여성과 청년, 장애인에 무려 25%에 달하는 가산점을 주기로 했는데요.<br /><br />이번에는 '국민참여공천' 제도를 새로이 도입하는 것이 특징입니다.<br /><br />당헌 당규에 있는 후보자 심사 기준 중 정체성과 기여도, 의정활동능력 등 지표에 대해 국민 의견을 모아, 국민이 직접 공천 기준을 세우게끔 하는 겁니다.<br /><br /> "공천 기준 마련부터 국민이 참여하는 민주당의 시스템 공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공천과정의 투명성, 국민 인식과의 편차를 극복하는 합리성을 확보하고자…"<br /><br />이렇게 공천 기준부터 국민 참여도를 높이면 투명성을 강화하고 합리성도 갖추는 효과가 날거라는 게 공관위 설명인데요.<br /><br />결국 강성지지층 참여도만 높이는 것 아니냐, 국민을 내세웠지만 사실상 방향은 정해져 있단 우려의 목소리, 비명계를 중심으로 벌써 터져나왔습니다.<br /><br />가장 관심인 컷오프 발표는 늦추고, 공천 기준부터 세운다는 명분으로 시간을 벌어 당 이탈 움직임을 막아보려는 것 아니냐는 말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민주당은 후보자 검증위원회에서 내놓는 적격, 부적격 판정 명단에 불만이 쌓이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문제가 지적된 친명 후보들의 '적격 릴레이 판정'에 대해 반발하며 '친명 공천, '자객 공천'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국민의힘도 한동훈 비대위원장의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, 김경율 비대위원 띄워주기 행보에 '낙하산 공천' 논란 불이 붙었습니다.<br /><br />'시스템 공천' 하기로 해놓고, 말이 다르다는 지적인데요.<br /><br />당 대표들이 나서서 진화에 나섰지만, 파장은 진행형입니다.<br /><br /> "지는 선거가 의미가 있습니까? 이겨서 우리 당이 가지고 있는 철학과 우리 당이 가지고 있는 공약을 그 지역에 실천해서 지역민들의 삶을 개선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입니다."<br /><br /> "최선의 노력을 다해서 통합하고 국민 눈높이에 맞는 공정한 혁신적인 공천을 통해서 우리 국민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보여드릴 것입니다."<br /><br />여야가 공천 심사 기준 '계량화' 하겠다고 나선 것은 평가할 만 한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잡음도 물론 새어나오고 있지만, '밀실 공천' 우려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은 고무적인데요.<br /><br />중요한 건 이런 노력, 실제 공천에서도 잘 적용되어야겠죠.<br /><br />지금까지 여의도 풍향계였습니다. (junelim@yna.co.kr)<br /><br />PD 김효섭<br />AD 김희정<br />송고 임혜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